노후준비를 위해 퇴직연금은 꼭 필요합니다. 다만 중간에 이직을 하시거나 했을 때 퇴직연금 수령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헷갈리는 퇴직연금 수령방법과 절세 방법, 예상액까지 모두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또한 12일부터 시행되어 잘못하면 과태료를 물 수 있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에 대해 총정리한 글도 함께 읽어보시면 좋습니다. ▼
퇴직연금 예상액
먼저 IRP 퇴직연금 수령방법을 알기 전에 나는 얼마의 개인 퇴직연금을 받을 수 있는 지 궁금하실 텐데요, 일단 1년 이상 한 회사에 근무하셨다면 퇴직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IRP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재직일수/365)
만약 딱 1년이 되시면 상관없지만, 몇 년이상 한 회사에서 근무하신 분의 경우 퇴직연금 계산이 복잡하실 수 있는데요, 아래 사이트로 이동하시면 입사일, 퇴직일, 재직일 등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손쉽게 퇴직연금 예상액을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
퇴직연금 수령방법 (절세 방법까지)
퇴직금, 퇴직연금 수령방법은 일시금 수령과 연금수령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퇴직금을 일시금으로 수령하면 큰 목돈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지만, 자금 관리가 어렵고 연금 수령 시 보다 세금 부담이 높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퇴직금 절세 수령 방법 : 퇴직연금 수령시 절세를 하려면 연금수령을 하셔야 하는데요, 55세 이후 퇴직연금 수령방법 선택 시 일시금 수령보다 세금을 30% 감면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퇴직연금 수령방법은 예전과 다르게 DB형, DC형 둘 다 일반 계좌가 아닌 개인형 퇴직연금계좌(IRP)로 퇴직금을 수령하는 것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즉 본인이 어떤 퇴직연금 유형이든 퇴직금을 수령할 때는 반드시 IRP 퇴직연금 계좌가 필요합니다.
▶퇴직연금 수령방법 (중간 수령)
1) 주거래 은행 웹/어플을 통해 IRP 통장 개설하기
2) 개설한 IRP 퇴직연금 계좌를 회사에 알려주기
3) 담당자가 금융기관에 퇴직금 지급을 요청하면
금융기관에서 퇴직금을 근로자에게 IRP로 이전해주길 기다리기
4) IRP 퇴직연금 계좌에 퇴직금이 입금되면 해지하기
5) 근로자가 지정한 계좌로 퇴직금 수령
은행별 IRP 퇴직연금 어플 다운로드 바로가기
하나은행 | 국민은행 | 우리은행 |
신한카드 | 신한은행 | 제일은행 |
농협은행 | 기업은행 | 대구은행 |
퇴직연금 수수료
만약 퇴직금을 퇴직연금 IPR로 일시금으로 수령받기로 결정하셨다면 '소득세'가 부과된다는 점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소득세는 퇴직금의 5%입니다. 퇴직연금을 정상적으로 받게 되면 세금의 30%를 감면받으실 수 있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으시면 받으셔도 됩니다. 또한 퇴직연금 수수료도 얼마나 떼가는지 알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퇴직연금 IRP에는 크게 운용관리 수수료, 자산관리 수수료 두 가지가 부과되는데요, 운용성이 얼마나 좋냐와 관계없이 일단 돈을 맡긴 상황이면 부과됩니다. 또한 수익률이 좋아도 수수료가 높으면 수익이 예상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에 비교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모든 퇴직연금 IRP 수수료를 볼 수 있어 비교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 가입하셨더라도 내가 가입한 퇴직연금 IRP의 수수료율을 확인해보시고 다른 운용사에 비해 수수료율이 너무 높은 곳에 가입하셨다면 타사로 이전하는 방법으로 나의 퇴직연금을 운영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또한, 퇴직연금 IRP 계좌는 시시로 이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가끔씩 확인하시면서 혜택을 받는 방향으로 운용하시면 좋습니다.
참고로 55세 이상이라면 연금 개시일을 정한 후 일정기간 동안 연금으로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내가 연금을 수령하는 도중에 사망했다면 배우자 혹은 자녀 등 지정한 사람에게 지급할 수 있는 점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퇴직연금 수령방법과 퇴직연금 계산법, 퇴직연금 수수료 확인하는 방법까지 모두 알려드렸는데요, 12일부터 시행하게 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에 대해 모르시는 분이 계시다면 아래 글도 한 번 읽어보시기를 바랍니다. 경우에 따라 과태료를 물 수도 있기 때문에 한번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s://healer.konini91.com/12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나도 과태료?
7월 12일부터 의무 시행일이 시작되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제도 때문에 떠들썩합니다. 이미 1년의 유예기간을 거친 퇴직연금디폴트옵션을 이행하지 않을 시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라고 하는데
healer.konini91.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아이큐브솔루션, 청약 총정리 (1) | 2023.07.18 |
---|---|
초파리 없애는 방법, 인기 트랩3 (0) | 2023.07.14 |
윔블던테니스대회, 실시간중계 탑시드 경기 (0) | 2023.07.10 |
선크림추천, 무기자차TOP5 (0) | 2023.07.09 |
새마을금고부도, 수협 신협 예금자보호 확인 (0) | 2023.07.08 |